- reset :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간 뒤 이후 내역들을 지운다.
- revert : 되돌리기 원하는 시점의 커밋을 거꾸로 실행한다.
1. reset
: 원하는 시점(커밋)으로 되돌아가므로 돌아온 시점 이후 커밋은 삭제된다. 과거로 돌아간 것과 비슷하다.
1. 원하는 커밋 해시 찾기
-> 아래 명령어로 커밋 내역 확인
-> 되돌아갈 시점의 커밋 해시 복사
-> :q로 빠져나가기
git log
2. reset 실행
git reset --hard (돌아갈 커밋 해시)
2. revert
: 과거 되돌리고 싶은 커밋을 골라 반대로 실행한다.(그 커밋만 없었던 것처럼)
선택한 커밋 내용만 삭제하는 개념으로, 되돌린 커밋 기록이 남는다.
1. 원하는 커밋 해시 찾기
got log
2. revert 실행
git revert (되돌릴 커밋 해시)
! revert 전 커밋으로 복원하기
만약 revert을 취소하고 싶다면 reset을 사용해 revert 커밋을 되돌리면 된다. 방법은 일반 커밋과 동일.
git reset --hard (revert 커밋 해시)
! 커밋하지 않고 revert 하기
-> 원하는 다른 작업을 추가한 다음 함께 커밋한다.
-> 취소하려면 git reset --hard
git revert --no-commit (되돌릴 커밋 해시)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06. branch 병합 (merge, rebase) (0) | 2024.07.01 |
---|---|
[Git] 05. branch 생성/이동/삭제 (0) | 2024.07.01 |
[Git] 03. 커밋(Commit) 기초 (0) | 2024.07.01 |
[Git] 02. Git에서 특정 파일/폴더 배제하기 (.gitignore) (0) | 2024.06.24 |
[Git] 01. Git 설정 및 프로젝트 관리 시작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