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프로젝트 ]
- 프로젝트 : 수강생 관리 프로그램
- 9조 : 강동준, 김나영, 정승헌, 추죵윤, 한지은
[ KPT 타임테이블 ]
- KPT에 대해서 설명 : 5분
- Keep, Problem 작성 : 5분
- 각자 작성한 Keep, Problem 공유 : 10분
- Try 작성 : 7분
- 각자 작성한 Try 공유 : 8분
- 팀 및 프로젝트에 활용할 Try & Action 선정 : 15분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점)
- 전반적 일정을 미리 계획한 후 맞춰서 한것
- Github 저장소를 사용하면서 작업 섹션을 적절하게 나눈 브랜치를 각자 사용함
- 문제나 궁금한 점, 아이디어가 있을 경우 실시간 소통으로 모든 팀원이 최대한 문제해결에 협조.
Problem :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개선이 필요하다!)
- 사전에 프로젝트에 대한 팀 전반적인 이해와 소통이 더 필요하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의 메서드화 / 클래스화에 대한 부분에서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 것 같음)
- 저장소로 사용할 변수의 자료구조에 대한 사전 고민이 더 필요할 것 같다.
- 팀원들간의 실시간은 아니더라도 노션에 트러블슈팅 기록 및 공유는 필요할 듯(진척도 확인할 겸)
- 팀 과제 템플릿 사용 - 파일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이해가 미비했던 것 같음
- 전체적인 흐름의 파악과 변화가 유동적이지 못했다.
- 오전에 데일리스크럼이 있었으면 그날 하루에 각자 뭐할지 파악이 되니까 진척도확인이 편할 것 같다!
Try :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당장 실행 가능한 것
- 개발 전에 미리 다함께 플로우차트(사용자입장)랑 UML(개발자입장)을 고민하고 작성해서 전체 프로젝트의 퀄리티를 훨씬 높일 수 있을 것 같다(전 팀원의 프로젝트 이해도와 공유를 확실히)
- 개인의 역량과 관계없이 의견을 적극적으로 내자!
- 팀 노션 적극 활용 - 실시간 트러블슈팅 기록하고 공유한다.
- 저녁시간 소규모 TIL 시간 갖고 서로 문제/알게된것/모르는것 공유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팀과제의 정적 메소드(Static Method) 리팩토링 (0) | 2024.08.06 |
---|---|
[TIL] Github에 올라간 .idea 폴더 삭제 / .gitignore 파일 미적용 해결 (0) | 2024.08.02 |
[TIL] Git LF will be replaced by CRLF in 에러 (0) | 2024.08.01 |
[TIL] 문자열 자르는 방법 2가지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