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강좌(얄코)를 학습하며 작성하는 글입니다.
- Git, SouresTree, VSCode 설치 완료를 전제로 작성합니다.
1.Git 최초 설정
- 실행하는 곳 : 터미널 프로그램(Git Bash, iTerm2)
- Git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를 설정한다. (GitHub 계정과 별개)
# 이름,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 이메일)"
# 설정되었는지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기본 브랜치명을 변경한다
: 기존 master, slave라는 브랜치명은 인종차별 언어로 사용을 지양하는 추세이다.
# 기본 브랜치명을 main으로 변경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2. 프로젝트 생성, Git 관리 시작
1. PC에서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이름으로 폴더를 생성
2. VSCode에서 프로젝트로 Open
3. VSCode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당 폴더를 git이 관리하도록 설정
init : initialize의 준말.
이때, 프로젝트 시작 전 딱 한 번만 입력하면 됨.
정확한 프로젝트 폴더(경로)에 입력해야 함
git init
4. VSCode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당 폴더에서 현재 git이 관리 중인 파일을 확인
git status
- 주의할 점
git과 연결된 최상위 폴더에는 '.git' 폴더가 생성된다.
이때 이 폴더를 삭제 시 이전 Git 관리 내역이 삭제되므로 손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06. branch 병합 (merge, rebase) (0) | 2024.07.01 |
---|---|
[Git] 05. branch 생성/이동/삭제 (0) | 2024.07.01 |
[Git] 04. 커밋 되돌리기 (reset, revert) (0) | 2024.07.01 |
[Git] 03. 커밋(Commit) 기초 (0) | 2024.07.01 |
[Git] 02. Git에서 특정 파일/폴더 배제하기 (.gitignore) (0) | 2024.06.24 |